본문바로가기 18.224.61.61
모바일 메뉴 닫기

대학정보

함께 만드는 더 나은 미래

메인으로

언론보도

[고교생의 학업성취도와 교육정책] 사무처장 김명현 신부 기고
배부일 : 보도언론 : 작성자 : 비서홍보팀 조회수 : 6527

[2007. 12. 14자 대구일보 매일신문 종교인 칼럼]

 

고교생의 학업성취도와 교육정책

 
 
  OECD는 지난 4일 회원국 30국을 포함해 세계 57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2006년 학업성취도 국제비교(PISA)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발표에서 우리나라 고교생의 전반적인 학업성적이 국제 수준에 비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리 만족할 만한 성적은 아니었다. 독해력 부문만 과거보다 향상되어 1위를 차지하였고, 수학부문은 첫 조사에서 2위를 기록한 후 매번 한 단계씩 밀려나 이번엔 4위로 떨어졌다. 과학부문은 2000년 1위였는데 2003년 4위로 떨어지고 2006년엔 급기야 11위로 급락하였다. 독해력과 수학은 우리나라 고교생들이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과학부문은 왜 해가 갈수록 학업성취도가 떨어지고 있는가? 과학부문의 학업성취도가 갈수록 떨어진다는 것은 과학과 관련된 교육제도와 대학입시제도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2001년부터 시행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 중학교와 고교 1학년 과학수업시수가 주 당 4시간에서 3시간으로 줄어들었다. 선택과정인 고2~3학년 때는 과학기술군(수학, 과학, 기술, 가정)과목 중 입시에 필요한 한 두 과목만 배우고 있다. 또한 수학을 선택한 인문계 학생들은 고2때부터 과학과목을 배울 필요가 없으며, 자연계 학생들도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중 입시에 필요한 과목만 배우고 있다. 게다가 대학의 이공계열에 입학하는데 과학과목을 이수하지 않아도 되는 희한한 입시제도가 과학교육의 부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무엇보다 먼저 학생들에게 교육 선택권을 늘여준다는 명분하에 마련된 제7차 교육과정 하에서 학생들은 입시에 유리한 과목만을 택하기 때문에 전반적인 과학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일선 교사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결국 정부는 국가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학생들이 이수해야할 과목과 내용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짜야하는데 이를 소홀히 함으로써 과학교육의 부실을 가져온 것이다.

  과학부문에의 성적을 좀 더 세밀히 살펴보자. 국가별 과학부문 최상위 5%의 학생들 성적은 17위이며, 과학부문 최상위권인 레벨 6에 도달한 우리나라 학생의 비율은 1.1%로 154개 고교 5000명 중 불과 50명으로 세계 18위이다. 이와 같은 최상위 학생의 성적하락은 고교 평균화가 그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수월성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 고교의 교실에서 우수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길은 없다. 왜냐하면 평준화 교실에서 우수한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지도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우수한 학생들의 학습욕을 자극할 방안이 없기 때문이다. 결국 평균화 교실은 우수한 학생들에게 하향 평균화 된 수업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이다.

  과학부문의 성적이 급락한데 비하여 독해력부문은 2000년 6위에서 2003년 2위 2006년엔 1위를 차지하였다. 독해력 부문이 이렇게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은 대학입시에서 논술비중이 차츰 커지는 것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어쩌면 대학입시에서 논술 비중이 커지면서 학부모와 학생들이 대거 논술학원으로 몰려 사교육을 받기 때문에 이런 성적이 가능한 것이 아닐까? 또 수학이 그런대로 성적을 유지한 것 역시 대학입시 때문에 입시학원의 수학 수강생이 많은 것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밤늦도록 학원에서 비싼 수강료를 지불하며 입시에 필요한 과목을 공부하고 학교에서는 별로 배울 것이 없어 책상에 엎드려 자는 학생이 많다고 한다.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의 학업성취도는 공교육이 아니라 사교육에 달려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우리나라 고교생의 PISA 성적은 바로 공교육의 부실, 제7차 교육과정의 오류, 대학입시제도가 만들어낸 결과이다. 이제 공교육을 바로 세워야 한다. 그 몫은 이번 대선에서 탄생할 새 정부의 몫이다. 새 정부는 3불 정책만을 고집했던 현 정부의 교육정책에서 벗어나 공교육의 내실화, 교육과정의 오류를 수정하고, 대학입시의 자율화를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정책이 올바로 시행되지 않고서는 대한민국의 미래는 결코 밝지 않다. 이제 더 이상 무너져 내리는 공교육 현장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청소년들을 방치해서는 안된다.

김명현 신부(대구 가톨릭대 사무처장)
 
 
[보도기사 바로보기]
 
최상단 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