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지원통합시스템 → 학적)

Campus Life
학부 모집단위 입학생(자율전공학부 포함)이 2학년 또는 3학년 진급시 희망하는 전공을 신청하도록 하여 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고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을 최대한 보장함.
학 부 명 | 배 정 시 기 | 비 고 |
---|---|---|
일반학부 | 2학년 1학기(1학년 말 신청) | 자율전공학부 포함 |
약학부 | 4학년 1학기(3학년 말 신청) | 2+4년제 |
재학 중 주전공 이외에 별도의 전공을 동시에 이수하여 졸업 시 2개 이상의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제도임.
학 과 명 | 제 한 내 용 | 비 고 |
---|---|---|
심리학과 | - 복수전공 신청 당해학기까지의 성적평균 85점 이상(실격과목 포함)으로 제한 - 학년도별 입학정원의 100% 이내 선발 - 지원자가 입학정원의 1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성적순으로 선발 |
|
아동학과 | - 복수전공 신청 당해학기까지의 성적평균 80점 이상(실격과목 포함)으로 제한 | |
사회복지전공 | - 복수전공 신청 당해학기까지의 성적평균 80점 이상(실격과목 포함)으로 제한 | |
체육교육과 | - 복수전공 신청 당해학기까지의 평점평균 3.5 이상(실격과목 포함)으로 제한 - 사범대 재학생만 신청가능 - 교원자격증 취득을 위한 교직 복수전공은 별도로 신청 및 선발과정을 거쳐야 함 |
연계전공명 | 신청가능 학과(전공) |
---|---|
공통사회교육전공 | 역사교육전공, 지리교육전공 : 16학번 이전 |
통합사회교육전공 | 역사교육전공, 지리교육전공 : 17학번 이후 |
문화예술경영전공 | 학부, 학과(전공) 제한 없음 |
주전공 이수학점 | 제1복수전공 이수학점 | 제2복수전공 이수학점 | 비 고 |
---|---|---|---|
42 | 42 | - | 제1복수전공이 일반학과인 경우 |
45 | 45 | - | 제1복수전공이 글로벌비즈니스전공, 중남미비즈니스전공, MICE·의료관광전공인 경우 |
36 | 36 | 36 | 제1복수전공과 제2복수전공이 일반학과인 경우 |
45 | 36 | 36 | 제1복수전공과 제2복수전공 중 어느 하나라도 글로벌비즈니스전공, 중남미비즈니스전공, MICE·의료관광전공을 복수전공으로 이수하는 자 |
주전공 이수학점 | 제1복수전공 이수학점 | 제2복수전공 이수학점 | 비 고 |
---|---|---|---|
42 | 42 | - | 제1복수전공이 일반학과인 경우 |
45 | 45 | - | 제1복수전공이 글로벌비즈니스전공, 중남미비즈니스전공, MICE·의료관광전공인 경우 |
42 | 36 | 36 | 제1복수전공과 제2복수전공이 일반학과인 경우 |
45 | 36 | 36 | 제1복수전공과 제2복수전공 중 어느 하나라도 글로벌비즈니스전공, 중남미비즈니스전공, MICE·의료관광전공을 복수전공으로 이수하는 자 |
재학 중 주전공 외에 별도의 학과(전공)에서 개설하는 전공 교과목을 21학점 이상 취득하면 부전공을 인정받는 제도임.
학생이 재학 중 본인의 학문적 필요에 따라 주전공 이외의 타전공 교육과정을 일정 기준에 따라 이수하는 별도의 전공을 말하며, 일반 융합전공, DCU 융합전공, LINC+ 융합전공, SW융합전공으로 구분함.
융 합 전 공 | 내 용 |
---|---|
일반 융합전공 | 주전공 외에 하나의 타학과(전공) 전공교육과정 중 15학점 이상 이수 |
DCU 융합전공 | 주전공 외에 복수의 타학과(전공) 전공교육과정에서 15학점 이상 이수 |
LINC+ 융합전공 | 주전공 외에 LINC+사업단에서 개설 및 운영하는 트랙 교육과정을 기준에 따라 이수하는 전공으로 디지털 기반의 도시환경재생융합전공, 산업용IoT 융합전공, 식의약화장품품질관리융합전공, 디지털설계·생산융합전공이 있음. |
SW융합전공 | 주전공 외에 SW중심대학사업단에서 개설 및 운영하는 트랙 교육과정을 기준에 따라 이수하는 전공으로 컴퓨터공학SW융합전공, 클라우드SW융합전공, 스마트IoTSW융합전공 등이 있음. |
구 분 | 주전공 이수학점 |
융합전공 이수학점 |
최소 전공이수학점 |
비 고 | |
---|---|---|---|---|---|
졸업학점 120학점 | 2019학년도 이전 신입학·편입학·재입학생 | 54 | 15 | 69 | |
2020학년도 이후 신입학·편입학·재입학생 | 60 | 15 | 75 | ||
졸업학점 120학점 초과 | 2019학년도 이전 신입학·편입학·재입학생 | 66 | 15 | 81 | |
2020학년도 이후 신입학·편입학·재입학생 | 72 | 15 | 87 | ||
신학부, 사범대학 소속 학과(전공), 예·체능계열 학과(전공) |
60 | 15 | 75 | ||
물리치료학과, 방사선학과, 안경광학과 | 72 | 15 | 87 | ||
건축학과 | 2017학번 이전 | 130 | 15 | 145 | |
2018학번 이후 | 128 | 15 | 143 | ||
의학과 | 160 | 15 | 175 | ||
간호학과 | 98 | 15 | 113 | ||
약학부 | 2017학번 이전 | 112 | 15 | 127 | |
2018학번 이후 | 151 | 15 | 166 | ||
LINC+ 융합전공 | 2019학년도 이전 신입학·편입학·재입학생 | 54 | 15 | 69 | LINC+ 융합전공 이수 기준은 따로 정함 |
2020학년도 이후 신입학·편입학·재입학생 | 60 | 15 | 75 | ||
SW융합전공 | 2019학년도 이전 신입학·편입학·재입학생 | 54 | 15 | 69 | SW융합전공 이수기준은 따로 정함 |
2020학년도 이후 신입학·편입학·재입학생 | 60 | 15 | 75 |
학생이 소속한 모집단위에서 같은 학년, 같은 학차의 다른 학과(전공)로 옮겨가는 제도로서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을 확대하여 적성에 맞는 진로(취업) 준비를 지원함.
허용인원 | 사정(전형) 방법 |
---|---|
제한두지 않음 | 해당 학과(전공)에서 정한 기준(면접 등)에 따름. |
구분 | 사정(전형) 방법 |
---|---|
일반 학부 및 학과(전공)로의 전과 | ㆍ전과 선발기준은 해당 학과(전공)에서 정한 면접, 성적 등의 심사기준에 따름. ㆍ면접은 A,B,C,D 로 평가, “D"는 불합격 처리함. |
예·체능계열 학과(전공)로의 전과 | ㆍ실기고사 성적순으로 선발함. - 실기고사 40점 미만인 자는 불합격 처리함. - 실기고사는 본교 편입생 선발과 동일한 과제 또는 학과(전공)에서 지정한 과제로 실시함. |
질병 및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3주 이상 계속하여 수업을 받을 수 없는 경우 또는 입영하는 경우 휴학을 신청하고, 휴학이 만료되어 다시 수학하고자 하는 경우 복학을 신청하는 제도임.
휴학신청기간 | 등록금 납부 및 휴학가능 여부 |
---|---|
방학중 ~ 수업일수 15분의 6 | 등록금 납부없이 휴학 가능 |
수업일수 15분의 6 경과 ~ 15분의 8 이전 | 등록금 납부 후 휴학 가능 |
수업일수 15분의 8 경과 ~ 15분의 13 이전 | 등록금 납부 후 휴학은 가능하나 등록금은 전액 소멸 |
수업일수 15분의 13 경과 | 일반휴학 불가 |
휴학신청기간 | 등록금 납부 및 휴학가능 여부 |
---|---|
방학중 ~ 수업일수 15분의 6 | 등록금 납부없이 휴학 가능 |
수업일수 15분의 6 경과 ~ 15분의 13 이전 | 등록금 납부 후 휴학 가능 |
수업일수 15분의 13 경과 | 학기인정 및 등록금 소멸(다음 학기 휴학 처리) |
구 분 | 제 출 서 류 |
---|---|
질병휴학 | 3주 이상의 입원을 요하는 의료기관 진단서 |
입영휴학 | 입영통지서 또는 복무확인서 |
기타 | 사유에 해당하는 증빙서류, 사유서 및 지도교수(학과장)의 의견서 |
본교 재학생의 병역의무 이행과 관련하여 재학중 학업을 계속하기 위해 입영을 연기하거나 입영 재신청 또는 취소에 관하여 병역법에 의거 관련 내용 및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업무임.
고등학교 | 대학 | 대학교 | 대학원 | |||||||||
---|---|---|---|---|---|---|---|---|---|---|---|---|
석사과정 | 석·박사 통합과정 |
박사과정 |
사법연수원 | |||||||||
2년제 | 3년제 | 4년제 | 5년제 | 6년제 | 의과,치과,한의과,수의과,약학과 | 4학기제 | 법학전문 대학원등 5,6학기제 |
의·치의과, 한의과,수의과,약학과 |
||||
28세 | 22세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6세 | 27세 | 28세 | 28세 | 28세 | 26세 |
타교입학 또는 기타 사유로 학업을 중단하고자 하여 자퇴원서를 제출하는 경우 또는 미등록, 미복학, 재학연한만기자에 대한 제적처리로 학적을 상실하게되는 제도임.
구 분 | 제 적 시 기 | 비 고 |
---|---|---|
재학연한초과 | 재학연한이 초과되는 학기의 개강일 | 수업연한의 2.5배 초과자 |
미복학 | 수업일수 15분의 8 경과이후 | |
미등록 | 수업일수 15분의 13 경과 이후 |
구 분 | 유 급 기 준 | 비 고 |
---|---|---|
의예과 | ① 당해학기 학업성적 평점평균 2.0 미만인 자 ② 당해학기 신청학점 성적 중 F등급 15% 초과자 ③ 2학년 기초의학 과목 중 F등급 있는 자 |
학기단위 유급 |
의학과 | ① 각 학기(1,2학년) 또는 각 학년(3,4학년) 학업 성적 평점평균 2.0 미만인 자 ② 당해학기 또는 당해학년 신청학점 중 D등급(D+,D) 15% 초과자 ③ 당해학기 또는 당해학년 신청학점 중 F등급 있는 자 |
1,2학년 : 학기단위 유급 3,4학년 : 학년단위 유급 |
간호학과 | 당해학기 학업성적 평점평균 1.75 미만인 자 | 학기단위 유급 |
약학부, 약학전공, 제약학전공 | 당해학기 학업성적 평점평균 2.0 미만 | 학기단위 유급 |
대상학과 | 제 적 기 준 |
---|---|
약학부(2+4년제), 의예과, 의학과, 간호학과 | 대상학과 재학생이 유급횟수 3회를 초과한 경우 |
약학부(6년제) | 대상학과 재학생이 유급횟수 6회를 초과한 경우 |
자퇴 또는 제적된 사유로 학적을 상실한 후 다시 학업이수를 희망하는 자에게 학업의 기회를 부여하기 위해 동일 학과(전공)로 입학을 허가하는 제도임.
졸업에 필요한 소정의 과정을 이수하고, 졸업논문 등을 통과한 자에 대하여 학위를 수여하기 위한 졸업요건이다.
구 분 | 대상 단과대학 및 학과 | 비 고 |
---|---|---|
졸업시험 | 의과대학, 간호대학, 약학대학 | |
실기발표(작품전시회 포함) | 디자인대학(패션디자인과, 산업디자인과, 디지털디자인과 제외)) |
※ 패션디자인과 : 17학번부터 제외(졸업인증제로 반영) ※ 산업디자인과, 디지털디자인과 : 20학번부터 제외(졸업인증제로 반영) |
학내 면학분위기 조성과 수혜자 중심의 교육을 통해 우수인력을 조기에 배출하여 사회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학업 성취력이 뛰어나 졸업에 필요한 요건을 갖춘 학생에게 수업년한을 1개 학기, 또는 2개 학기를 단축하여 조기에 졸업하는 제도이다.
졸업식은 소속 단과대학별 또는 학과(전공)별로 거행되며, 소속대학 학과(전공)사무실에서 학위복을 배부받아 졸업식에 참석하여야 하며, 졸업식을 마친 후 학위복 반납 시 학위증(졸업증서), 졸업앨범, 교원자격증 등을 교부 받으면 된다. (※ 학위복 배부는 학과별로 차이가 있음)
졸업인증제란 학과(전공)별 졸업요건을 충족한 자 중 추가로 대학공통지정요건과 학과(전공)지정요건 등 졸업인증제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학위를 수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대학공통지정요건은 사회봉사영역, 진로와취업을위한전공별직업윤리 교과목 이수(19학번 입학생). 다만, 사범대학 소속 학생은 학교현장과교사윤리 교과목 이수(19학번 이후 입학생)를 말하며, 학과(전공)지정요건은 학과(전공)별 내규로 정한다.
요건구분 | 세부영역 | 제출처 | 제출방법 |
---|---|---|---|
대학공통 지정요건 | 봉사활동 | 사랑나눔봉사단 | 사랑나눔봉사단으로 봉사내역 제출 |
진로와취업을위한전공별직업윤리 교과목 이수 (단, 사범대학은 학교현장과교사윤리 교과목 이수) |
교과목 수강 | ||
학과(전공)지정요건 | 학과(전공)영역 | 소속학과 | 소속학과(전공) 졸업인증제 요건 확인 후 자료 제출 |
외국인유학생 언어요건 |
공인 한국어능력시험(TOPIK) 4급 이상 취득 | 국제교류팀 | 국제교류팀으로 시험결과 제출 |
구분 | 입학 구분 |
신(편)입학 학년도 |
사회봉사 (사랑나눔봉사단 주관 봉사) |
교과이수 | |
---|---|---|---|---|---|
진로와취업을 위한 전공별 직업윤리 (사범대 제외) |
학교현장과 교사윤리 (사범대만 해당) |
||||
내국인 | 신입학 | 2006~2009학년도 | 면제 | 면제 | 면제 |
2010~2012학년도 | 32시간(0시간) | 면제 | 면제 | ||
2013학년도 이후 | 32시간(12시간) | 면제 (단, 2019학년도 입학생은 의무) |
면제 (단, 2019학년도 이후 입학생은 의무) |
||
편입학 (3학년) |
2008~2011학년도 | 면제 | 면제 | 면제 | |
2012~2014학년도 | 16시간(0시간) | 면제 | 면제 | ||
2015학년도 이후 | 16시간(6시간) | 면제 (단, 2021학년도 입학생은 의무) |
면제 (단, 2021학년도 이후 입학생은 의무) |
||
외국인 | 신입학 | 2017학년도 이후 | 16시간(6시간) | 면제 (단, 2019학년도 입학생은 의무) |
면제 (단, 2019학년도 이후 입학생은 의무) |
편입학 (3학년) |
2019학년도 이후 | 8시간(3시간) | 면제 (단, 2021학년도 입학생은 의무) |
면제 (단, 2021학년도 이후 입학생은 의무) |
|
해외복수학위생 | 신입학 | 2017학년도 이후 | 16시간(6시간) | 면제 | 면제 |
유스티노자유대학 | 신입학 | 2022학년도 이후 | 12시간(0시간) | 면제 | 면제 |
졸업인증제 면제 | ① 2005학년도 이전에 입학한 경우 ② 2005학년도 이전에 입학한 학생이 재입학한 경우 ③ 2007학년도 이전에 3학년으로 편입학한 경우 ④ 2016학년도 이전에 입학한 외국인 학생인 경우 ⑤ 2018학년도 이전에 3학년으로 편입한 외국인 학생인 경우 ⑥ 수도자 또는 신학대학 소속 학생인 경우 ⑦ 사랑나눔봉사단에서 인정한 장애학생인 경우 ⑧ 2016학년도 이전에 입학한 학생이 해외복수학위로 선발된 경우 ⑨ 2014학년도 이전에 모집중지된 학과(전공) 소속 학생인 경우 ⑩ 2018학년도 전기에 대구외국어대학교에서 본교 4학년 7학차 이상으로 특별편입한 자 ⑪ 진로와취업을위한전공별직업윤리 : 신학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수도자, 해외복수학위생 ⑫ 학교현장과교사윤리 : 수도자, 해외복수학위생 |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는 국가공인자격증으로 재학 중 분야별 문화예술교육사(2급) 교육과정을 이수한 후 문화예술진흥원에 자격교부를 통하여 자격증을 취득하는 제도
분 야 | 해 당 학 과 | 비 고 |
---|---|---|
무용 | 무용학과 | |
음악 | 성악과, 관현악과, 피아노과, 작곡·실용음악과 | |
미술 | 환경조각전공, 회화전공 | |
공예 | 금속·주얼리디자인과 | 미개설 |
교과영역 | 교과목 | 최저 이수시간 또는 학점 | ||
---|---|---|---|---|
가. 직무역량 | 1) 문화예술교육 개론 | 30시간(2학점) | ||
2) 예술 관련 분야별 교수역량 교과목(3과목) | 90시간(6학점) | |||
무용분야 | 미술분야 | 음악분야 | ||
-무용교육론 -무용교수학습방법 -무용교육프로그램개발 |
-미술교육론 -미술교수학습방법 -미술교육프로그램개발 |
-음악교육론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
||
3)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이해와 실습 | 30시간(2학점) | |||
나. 예술전문성 |
예술 관련 분야별 해당 분야의 전공과목(10과목 이상) ※ 전공자(문화예술관련 대학 졸업생)의 경우, '예술전문성 영역 제외' |
450시간(30학점) |
개설학기 | 교과구분 | 과목번호 | 학점 | 과목명 | 비고 |
---|---|---|---|---|---|
1 | 교양선택 | 108431 | 2 | 문화예술교육개론 | |
교양선택 | 108492 | 2 | 음악교육론 | ||
교양선택 | 109379 | 2 | 미술교육론 | ||
교양선택 | 109380 | 2 | 미술교육프로그램개발 | ||
전공선택 | 109229 | 2 | 무용교육론 | 무용학과에서 개설 | |
전공선택 | 109231 | 2 | 무용교육프로그램개발 | ||
2 | 전공선택 | 107607 | 2 | 무용교수학습방법 | |
교양선택 | 108433 | 2 | 문화예술교육현장의이해와실습 | ||
교양선택 | 108493 | 2 | 음악교수학습방법 | ||
교양선택 | 109528 | 2 | 음악교육프로그램개발 | ||
교양선택 | 109529 | 2 | 미술교수학습방법 |
학칙 제44조의 학위수여요건을 충족한 자 중 학사학위취득 유예(졸업연기)를 희망하는 자에게 소정 기간 내에 학사학위취득 유예를 신청하여 총장의 허가를 얻어 재학연한(수업연한의 2.5배)범위 내에서 최장 2년까지 학사학위취득 유예를 허가하는 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