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3.19.66.38
모바일 메뉴 닫기

대학정보

학생을 끝까지 책임지는 대학

메인으로

상징물

교화(校花)

장미
장미 DAEGU CATHOLIC UNIVERSITY

장미

교화 - 校花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상징하는 꽃으로서의 장미는 일반적인 꽃으로서의 장미가 가지는 의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도덕적 종교적으로 승화된 의미가 있다. 교화를 장미로 정한 것은 천주교회사와 관계있다. 초대 교회의 신자들은 기도와 함께 장미꽃을 바치기도 했는데 이것의 유래는 순교자들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순교자들은 콜로세움 경기장에서 순교할 때 머리에 장미꽃으로 엮은 관을 쓰고 순교함으로써 하느님을 뵙기에 합당한 차림을 하였다. 거룩하게 몸을 바친 이들이 썼던 장미관을 신자들이 밤중에 몰래 모아 장미꽃 한송이에 기도 한 가지씩 올렸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묵주기도이다. 1864년 라 살레트(La Salette)에 발현하신 성모께서는 머리와 가슴, 그리고 발에도 오색 찬란한 꽃으로 만든 관과 환을 두르고 계셨다고 한다. 여기서 장미는 내외적 순결 즉 영육의 순결, 지고의 사랑, 정열, 영광, 승리를 상징한다.

  • 페이지 담당부서 : 홍보팀
  • 연락처 : 053-850-3040
  • 최종수정일 : 2025-04-16

교목(校木)

은행나무
은행나무 DAEGU CATHOLIC UNIVERSITY

은행나무

교목 - 校木
은행나무는 1억 5천만년 전부터 지구상에 널리 분포되었던 나무로 추위와 바람에 매우 강하다. 또한 촘촘히 열리는 열매는 다른 수목의 열매보다 수가 많고 알맹이를 보호하기 위한 두꺼운 껍질로 싸여 있다. 봄에 피는 푸른 잎은 보는 이에게 싱그러움과 희망을 나타내고, 가을에는 열매와 더불어 노랗게 물든 단풍잎으로 풍성한 결실과 함께 너그러움을 상징한다. 은행나무는 대한성과 내서성이 있어 강건하고 토양을 가리지 않고 생육한다. 예로부터 내화력이 뛰어나 외풍에 견디는 힘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고풍을 자랑하는 선비 집안의 뜰에 있는 은행나무는 위엄함을 상징하기도 하였다.

1984년 봉덕동캠퍼스에서 현 하양 효성캠퍼스로 이전하면서 정문입구에서부터 법정관, 인문관, 사범관, 사회과학관, 경상관로 연결되는 도로와 기숙사방향, 도서관, 자연관 방향 등 교내 대로 변 양쪽으로 은행 나무를 많이 심었다.
은행나무는 넓은 아량과 도량으로 알찬 결실을 맺는 인재, 온유하면서도 강인한 인재의 양성을 추구하는 우리대학의 목표와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

  • 페이지 담당부서 : 홍보팀
  • 연락처 : 053-850-3040
  • 최종수정일 : 2025-04-16

상징동물(動物)

펠리컨
펠리컨 DAEGU CATHOLIC UNIVERSITY

펠리컨

상징동물 -動物
대구가톨릭대학교를 상징하는 동물인 펠리컨은 희생과 사랑의 실천 그리고 새 생명이라는 의미로 인하여 종교, 예술, 문학에서 불새(Phoenix, 不死⿃)로 표현되고 있다. 이 의미의 불새는 천년동안 제단을 쌓고 제단위에 나무에 불을 붙인 다음 스스로 불속에 뛰어들어 희생의 제사를 드리게 되고 그 잿더미 속에서 아기 불새(펠리컨)가 태어난다. (가톨릭 기도서 87쪽 성 토마스의 성체 찬미가에서도“ 사랑 깊은 펠리컨, 주 예수님…”이라고 언급)

펠리컨의 부리는 13L의 액체가 들어갈 만큼 넓게 늘어나며, 음식물을 잡을 때에는 그물로 쓰이고 새끼들에게 먹이를 줄 때에는 그릇으로 쓰인다. 새끼들에게 줄 먹이가 부족하면 위에서 삭힌 먹이도 토해내어 부리주머니에 담아 먹이고 새끼들이 먹을 것이 없어서 죽어갈 때에는 어미가 부리로 자기 가슴을 쪼아 그 피로 새끼들을 살릴 정도로 희생적이라는 상징이 우리 대구가톨릭대학교의 사랑과 봉사라는 가톨릭이념과도 닮아 있다.

1914년 한국 인천에서 마지막으로 단 한번 채집되었으며 성 유스티노신학교의 설립 년도와 동일한 시기에 마지막으로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페이지 담당부서 : 홍보팀
  • 연락처 : 053-850-3040
  • 최종수정일 : 2025-04-16

교석(校⽯)

스트로마톨라이트
100주년 기념광장에 세워진 교석, 스트로마톨라이트 DAEGU CATHOLIC UNIVERSITY

스트로마톨라이트

교석 - 校石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은 시아노박테리아라는 단세포 미생물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생물 퇴적 화석으로 지구의 생명 탄생 초기에서부터 오늘날까지 해수나 담수에서 형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트로마톨라이트는 초기지구 형성 과정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며, 박테리아 및 미세조류의 진화 과정을 밝히는데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스트로마톨라이트는 형태학적으로 다양하고 모양이 우수하여, 학자들에게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많은 매력을 선사하고 있어 여러 국가가 화석관광을 유도하는 등, 보존 발굴 가치가 높은 화석 중의 하나이다.

대구가톨릭대학교에 스트로마톨라이트는 1985년 봉덕동 효성여자대학교가 하양으로의 캠퍼스 이전 공사를 시작하면서 건축물을 신축하는 과정에서 발굴되었다. 효성캠퍼스 대운동장에서 50m 거리에 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는 2004년 10월에 학술적으로 조사되어 2009년 12월 11일에 천연기념물 제512호로 지정되었다. 지정 면적은 762㎡이며 2022년 추가 발굴 조사를 통해 바닥에 숨겨져 있던 표면적 1,000㎡이 추가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견된 스트로마톨라이트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모양 또한 뚜렷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중생대 백악기 호수에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2021년 개교기념일을 맞이해 교석으로 지정되고 100주년 기념 광장에 세워졌다.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우리 대학의 역사성을 상징하며 캠퍼스가 하양으로 이전하면서 발굴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이면서 박테리아 화석 함유 정도, 화석의 보존석 및 형태의 다양성에 있어서 세계적인 수준인 우리 대학 스트로마톨라이트는 대구가톨릭대학교가 세계에 공헌하고 세계로 발돋움하려는 목표와도 닮아있다.

  • 페이지 담당부서 : 홍보팀
  • 연락처 : 053-850-3040
  • 최종수정일 : 2025-04-16
최상단 이동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