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 you are making
대구가톨릭대(총장 성한기) 산학협력단은 2004년 설립 이후 대구와 경북 지역 산업과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하며 산학협력의 중심 역할을 해왔다. 전자, 기계, 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기업과 협력해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을 추진하며 지역 경제 활성화를 이끌었다.
▲첨단 기술 혁신과 중소기업 지원
산학협력단은 지난 20년간 대학 연구진과 지역 중소기업을 연결하며 기술 혁신의 허브로 자리 잡았다. 대표적으로 윤협상 산학협력단장이 주도한 기술 매칭 시스템은 기업의 기술적 요구를 세심히 분석하고 필요한 연구진과 연결하는 역할을 했다. 이를 통해 실감 콘텐츠 제어용 마이크로컨트롤러 시스템, 금형 제작용 자동 홀 가공 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개발하며 지역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품질 개선에 기여했다.
이러한 공로는 2024년 중소기업 기술·경영 혁신대전에서 인정받아, 기술협력 단체 부문 대통령 표창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 산학협력단은 이를 통해 지역 산업과의 상생 발전을 실질적으로 구현했다.
▲맞춤형 산학협력과 창업 활성화
산학협력단은 지역 산업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산학협력 체계를 구축하며 지역 경제와 산업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LINC+ 사업을 통해 지역 산업체의 수요에 맞춘 교육과정을 제공하며 실무형 인재를 양성했다. 디지털 기반 도시환경 재생, 산업용 IoT, 식의약화장품 품질관리 등 지역 특화 산업을 중심으로 한 맞춤형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특히, 2024년에 신설된 창업경영학과는 창업 아이디어 구체화와 지역 특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창업 프로젝트를 운영하며 지속 가능한 창업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역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창업자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실무 중심 교육과 혁신
산학협력단은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실무 중심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대표적으로 캡스톤 디자인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전공 이론을 바탕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기획, 설계, 제작하는 전 과정을 경험하도록 지원한다.
2024학년도에는 397개의 캡스톤 디자인 교과목이 개설되었으며 약 2,000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또한, 캡스톤 디자인 엑스포를 개최하여 학생들이 수행한 과제 결과물을 공유하고 전문가의 피드백을 받을 기회를 제공했다. 창업보육센터와 디지털 메이커 존은 학생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실제 창업으로 연결하며 취업 및 창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지역사회와 대학의 상생
산학협력단은 기업과의 협력에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의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다. 산업단지캠퍼스조성사업과 경산산학융합지구조성사업을 통해 대학과 산업체를 공간적으로 통합하며 교육, 연구, 고용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했다.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 양질의 일자리와 혁신적 산업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역 경제를 지속 가능하게 발전시키고 있다.
▲RISE 사업과 디지털 전환
산학협력단은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RISE 사업을 추진하며 지역 특화 산업, 연구, 교육, 고용을 연결하는 통합 산학협력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AI, 빅데이터, 스마트 제조 시스템, 환경 친화적 에너지 기술 등 첨단 기술 분야 연구 개발을 확대하며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디지털 메이커 존과 GLP센터를 중심으로 신기술 실험과 적용을 지원하며, 중소기업의 디지털화를 돕는 데 주력하고 있다.
■윤협상 산학협력단장 인터뷰
▲지난 20년간 산학협력단의 역할
산학협력단은 지역 산업과의 동반 성장을 목표로 연구 개발, 기술 이전,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며 대구와 경북 지역의 경제와 사회 발전을 이끌어 왔다. 특히, 글로벌 기업과 중소기업을 연결하며 지역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해왔고, 대학이 지역사회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
▲학생들에게 제공된 주요 기회와 성과
캡스톤 디자인 프로젝트와 같은 실무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현장 경험을 쌓을 기회를 얻고 있다. 창업보육센터와 디지털 메이커 존은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실제 창업으로 연결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혁신적이고 실질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여 취업과 창업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추진 사업과 비전
2025년부터는 RISE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지역 산업의 요구에 맞춘 연구, 교육, 고용을 통합하는 프로젝트로, AI와 빅데이터, 스마트 제조 기술 등 첨단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를 통해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고자 한다.
▲디지털 전환과 4차 산업혁명 대비 전략
디지털 메이커 존과 GLP센터를 중심으로 신기술을 실험하고 실제 산업에 적용하는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들이 디지털 전환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학생들에게 디지털 시대에 요구되는 실무 역량을 배양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산학협력단와 대학의 지속 가능한 성장
장기적으로 산학협력단의 활동은 대구·경북 지역의 경제와 사회에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지역 주민과 학생들에게 양질의 일자리와 혁신적 산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의 고등교육 수준과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은 지역과 긴밀한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 경제와 대학이 함께 성장하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것이다.